본문 바로가기
살아가는 상식

스위치 온/오프 기호 I/O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쵸키박 2023. 1. 27.

스위치 온오프 기호 I/O 기호 헛갈리지 않나요?

스위치 기계들

아이를 둘 낳고 어느새 40대가 훌쩍 되어서 그럴까요
사소한 것도 자꾸 까먹는 쵸키입니다;;;

제가 어이 없게도 종종 헛갈리는 건 바로 
스위치 온/오프입니다.
컴퓨터나 각종 기계에 스위치 온오프가 있는데요

온은 =ON = 켜다
오프=OFF= 끄다입니다 


이걸 기호화 한게 바로 I/O 인데요 
기계에는 전원버튼이 I/O로 되어 있어서
어떤게 온이고 어떤게 오프인지..가끔 
저만 헛갈리나요 ^^;;

한마디로 I를 누르면 전원이 켜지고 
O를 누르면 전원이 꺼집니다.

디지털 신호인 0과 1을 이용해 
온오프를 기호화한 것입니다
전세계적을 사용하고 있지요 

 

 



이렇게 외우시면 편할 것 같아요 
1= 전기가 통한다= 전기 있다 =켜다! 
0= 전기가 안통한다=전기 없다 = 끄다! 



I/O 말고도 여러 결합된 모양이 있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전력대기 기호


위는 대기전력이 있는 제품입니다.  
대기전력이란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은 상태이며 플러그를 완전히
뽑아야지만 전력소모를 막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보통 우리가 쓰는 컴퓨터가 그렇습니다 .
코드를 뽑지 않으면 계속 전기가 나간다는 거겠죠?


 

 

 

 

전력대기 없는 기호


대기전력 없는 제품
O안에 I가 있는 것은 전원버튼은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대기전력'이 없어서 플러그를 구지 뽑지 않아도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세탁기, 선풍기등이 그렇습니다.
그러니 전원만 꺼졌다면 일부러 전기 아끼겠다고 
코드를 뽑지 않아도 되겠죠? 


대기전력 있는 제품은 사용 후 플러그를 빼서 전기를 절약하고 
대기전력이 없는 제품은 구지 일일이 다 뽑지 않아도 되니
알아두면 수고로움을 줄이겠죠?

아이들에게도 설명할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